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 경제산업부 정현우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1. 사흘간 발사 현장에 있다가 조금 전 올라왔는데요. 위성 8개 중에 2개는 지금 어디에 있는지 살아있는지도 알 수 없는 거예요? <br> <br>우리 연구진의 지상 기지국에 공식적으로 신호가 잡힌 실용 위성이 8기 중 6기입니다. <br> <br>파악이 되지 않는 2기는 도요샛 3호기와 민간위성 JAC입니다. <br> <br>특히 도요샛 3호기는 발사체에서 무사히 빠져나갔는지조차도 정확치 않은 상태입니다. <br> <br>도요샛 4호기의 경우 발사 후 만 하루 정도가 지난 오늘 오후 6시 24분 드디어 신호가 잡혔습니다. <br> <br>Q2. 그럼 남은 두기 위성들의 행방은 언제쯤 알 수 있을까요? <br> <br>두 위성 모두 지상 기지국에서 교신을 계속 시도하고 있고요. <br> <br>각국 정부와 연구 기관에서 우주 물체 추적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조만간 확인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앞서 2차 발사 때도 비슷한 일이 있었는데요. <br><br>성능검증 위성이 4개의 소형 큐브위성을 내보냈는데요. <br> <br>이 중 하나는 48일 만에 교신에 성공하기도 했습니다.<br> <br>초기에 배터리 문제로 수신이 안 되다가 자세를 바꿔 태양광 충전을 통해 교신이 된 걸로 분석됐습니다. <br> <br>Q3. 8개 중 6개만 확인됐는데도 성공이라 볼 수 있습니까? <br> <br>연구진들은 일단 성공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[고정환 / 항공우주연구원 본부장 (어제)] <br>"저희는 목표 궤도에 누리호가 정확하게 들어갔다는 점, 차세대 소형위성 2호를 안전하게 분리했다는 점에 목표를 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김승조 전 항공우주연구원장에게 물었는데요. <br> <br>발사체의 책임 영역은 위성을 목표 궤도에 올려주는 것까지라는 겁니다. <br> <br>위성 8기 중 도요샛 3호기를 제외한 7기가 현재까지 잘 분리된 것으로 파악됐기 때문에 <br> <br>이 정도면 성공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Q4. 대통령은 어제 우리가 G7에 들어갔다 하던데, 10번째 스페이스클럽에 들어갔다고도 하잖아요. 7번째에요? 10번째에요? <br> <br>위성과 발사체를 자력으로 만들어 발사한 국가를 스페이스 클럽이라고 부르는데요. <br><br>이 기준으로는 우리나라가 10번째가 되고요. <br> <br>이 중에서도 무게 1톤 이상의 위성을 쏘아 올렸느냐로 보면 7번째가 됩니다.<br> <br>기상 관측이나 통신과 같은 실용 위성은 무거운 장비를 많이 싣기 때문에요. <br> <br>'1톤'의 선을 넘을 수 있냐 없냐에 따라 국제적 위상이 달라지는 겁니다. <br> <br>2차 발사땐 위성과 사출장치 등을 합쳐 위성부 전체 중량이 1.5톤에 달했는데요. <br> <br>실제 위성이 아닌 성능검증위성이었습니다. <br> <br>이번엔 위성부 중량이 504kg으로 가벼웠지만 실용 위성을 태웠습니다. <br> <br>진정한 '우주 G7'은 3차 발사를 통해 달성했다고 보시는 게 정확할 것 같습니다. <br> <br>Q5. 정 기자, 사흘간 현장에 있었는데 하루 연기됐을 때 걱정도 됐죠? <br> <br>네, 그제 오후 통신 오류가 발견되면서 실무진들은 밤샘 작업을 해 14시간 만에 문제를 해결해냈는데요. <br> <br>발사가 가능할까 우려가 컸던 게 사실입니다. <br> <br>[고정환 / 항공우주연구원 본부장 (어제)] <br>"한편으로는 굉장히 가슴 아프게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. 국내 위성을 손님으로 모신다고 큰소리를 쳐놓고 까딱하면 굉장히 홀대를 할 뻔한…" <br> <br>Q6. 그런데 한 번 쏠 때마다 엄청난 돈이 들긴 하던데요. 그래도 계속 쏴야 하는 거죠? <br> <br>누리호 발사는 같은 부품, 같은 설계로 총 6번 이뤄집니다. <br> <br>오류를 줄이고 신뢰성을 높여야 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위성 하나를 다른 나라의 발사체에 태워 우주로 보내려면 5백억 원 정도 드는데요. <br> <br>우리 기술이 있으면 이 비용을 아낄 수 있고요. <br> <br>외국 위성들을 운송해주는 비즈니스도 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1년에 세계적으로 발사되는 위성이 1천개에 달하기 때문에 돈이 되는 겁니다.